티스토리 뷰

목차



    요로결석이란 요로에 결석이 생기는 질병으로 결석이 있는 부위에 부르는 이름이 다른데, 요도에 생기는 결석을 요도결석이라고 합니다. 작은 결석이라면 소변과 함께 배설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수술 등으로 치료할 필요가 있습니다. 오늘은 요로결석의 증상, 피해야하는 음식, 자연배출, 치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요로결석 증상

    결석이 있더라도 무증상인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신장에 결석이 있더라도 소변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 전혀 증상이 없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결석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통증과 혈뇨가 발생하게 됩니다. 신장의 결석이 요관으로 이동하거나 요관의 돌이 더 내려가서 요관이 갑자기 막히면 신우의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여 갑자기 심한 통증이 일어납니다. 통증 부위는 결석이 ​​있는 곳의 복부에서 등으로, 같은 쪽 다리에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통증은 심한 통증이며, 가만히 있거나 몸을 움직여도 통증은 계속 됩니다. 너무 통증이 강하면 반사로 메스꺼움이 생겨 구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요관의 통과 장애가 만성이면 결석이있는 측면의 측 복부에서 등에서 통증이있을 수 있습니다. 빈뇨,잔뇨감 또한 특징적입니다. 요관의 결석이 방광 부근까지 하강하면 방광 자극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결석이 요로의 점막과 문질러 혈뇨가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결석의 재발률은 비교적 높은편으로, 5년간 45%, 10년간 60%가 재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 따라서 결석 치료 외에도 재발 예방이 더욱더 중요합니다

    피해야하는 음식

    섭취량에 주의가 필요한 것은 옥살산입니다.  결석 형성은 소변 중의 옥살산 양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나 옥살산은 다양한 식품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식사에서 옥살산의 양을 엄격하게 관리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옥살산이 적은 음식을 골라 먹는 것이 아니라, 특히 많이 옥살산을 포함한 식품을 삼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야채류로는 시금치, 양배추, 양상추,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가지, 무, 녹차, 말차 등이 있습니다. 야채류에서는 시금치가 함유량이 많은 편입니다.옥살산을 섭취하지 않는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기 떄문에  조리법에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옥살산은 물에 녹기 쉽기 때문에 잘 삶는다거나, 칼슘이 많은 제품들과 함께 섭취하는 것도 좋습니다. 따라서 칼슘이 많이 들어있는 식품을 함께 먹는 것도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동물성 지방은 장내에서의 옥살산과 칼슘의 결합을 저해하기 때문에 동물성 지방을 동시에 섭취하지 않는것도 중요합니다. 요로 결석증의 경우 비타민 C를 너무 많이 섭취하면 위험이 증가한다고합니다. 하루에 2000mg 이상 비타민 C를 섭취하는 것은 옥살산의 소변으로의 배설량을 증가시키고, 결석의 생성 리스크를 상승시킨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따라서 비타민 C의 섭취를 하루 100mg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연배출

    요로결석은 심한 통증이 이어지고 초기에 요로 결석의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진통제를 투여받게 됩니다. 환자의 결석이 자연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데, 이런 경우는 물을  충분히 섭취하고  진통제, 이뇨제를 추가하여 결석을 배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결석이 자연적으로 빠져나오기 어려운 상황에서 현재 가장 많이 시행되는 수술적 치료는 체외충격파쇄석술(ESWL), 정밀기기를 이용해 인체 외부에 충격파를 발생시켜 결석을 모래처럼 부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됩니다. 부순 후소변으로 배출됩니다.

    치료

    결석 치료의 요점은 작은 결석이 통증을 조절하면서 자연스럽게 흘러 나올 때까지 기다리는 보존치료와 자연적으로 흘러나오지 않는 크기의 결석은 수술에 의한 치료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요관 결석의 크기가 10mm 미만인 경우 자연스럽게 흘러 나올 가능성이 있으므로, 1개월간 정도는 흘러 나올 때까지 경과 관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흘러나오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소변의 양이 중요합니다. 많은 소변을 내기 위해 마시는 양을 하루 1.5에서 2 리터 이상하는 것이 좋습니다. 통증이 가라앉지 않거나 결석성 신우 신염을 동반하는 경우에는 다른 치료법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요관 결석에서는 10mm 이상의 크기나 10mm 미만에서도 같은 장소에서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요관 결석을 장기간 방치하면 신장의 작용이 악화되거나 요관에 손상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신장에 결석이 있는 경우는 무증상이 많습니다만, 결석을 장기간 방치했을 경우에도 증상이 없는 채로 커지는 경우도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해 버리는 일이 있습니다. 요로결석증의 대표적인 수술치료는 체외충격파 파쇄술(ESWL), 경뇨도적 신뇨관쇄석술(TUL), 경피적 신쇄석술(PNL), 경뇨도적 방광쇄석술(TUCL) )입니다. 현재 개복 수술은 거의 수행되지 않으며 복강경 수술은 특별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수행되지 않습니다.